이강소 “소멸” - [風來水面時 풍래수면시]
공간 디자인 / 프로덕션
2024.09.03 - 2025.03.30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서울
EXHIBITION
이강소 “소멸” - [風來水面時 풍래수면시]
공간 디자인 / 프로덕션
2024.09.03 - 2025.03.30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서울
EXHIBITION
이미지의 인식과 지각에 관한 개념적인 실험을 지속해 온 한국 화단의 대표적인 예술가인 이강소 작가. 아워레이보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작가의 개인전 ‘풍래수면시(風來水面時)’의 본전시에 앞서 작가가 1973년 첫 개인전에서 선보였던 해프닝 작업 <소멸>을 2024년 현재로 다시 불러오는 데 함께했습니다. <소멸>은 작가가 선술집에서 실제로 사용되던 집기들을 화랑 안에 옮겨두고 일주일동안 선술집을 차려 운영한 작업으로, 고정불변한 작품의 모습에서 벗어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선구적인 작업이었습니다.
서울박스에서 진행된 이번 프로젝트에서 ‘현대의 선술집’이라 할 수 있는 24시간 편의점의 플라스틱 테이블과 의자 등을 재해석하여 미술관 방문객들이 편하게 앉아서 쉬어갈 수 있는 가구로 제작하고, 1973년 당시 전시에 사용하였던 선술집 집기들과 함께 서울박스에 배치함으로써 작업이 1973년과 2024년 두 시점 모두와 동시대성을 가지고 존재할 수 있도록 연출했습니다.
거기에 더해 서울박스 전체를 거울 벽으로 둘러 <소멸>과 함께 공개된 작품들인 <나무의 기억>, <대론>, <청명 - 21021> 을 비롯해 공간 전체가 끊임없이 비추어지도록 만들었고, 이를 통해 작가가 끊임없이 묻고자 하는 실제와 가상의 경계에 대한 질문을 상기시키도록 했습니다.
클라이언트. 국립현대미술관
큐레이터. 이수연
OUR LABOUR
Creative Director. 이정형
Spatial Designer. 이누리
Production Director. 최병석
Production. 정기훈, 박세범, 이민호, 정의혁, 노훈관, 김종훈
Midea 설치협업. 올미디어













